'왕의 DNA' 왜 부모들은 믿을가?

2023년 09월 02일 by 뇌속삭임

    목차 (Content)

왕의 DNA를 믿는 부모들의 모습

1. 왕의 DNA 이슈

최근에는 발달장애나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비 치료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교육부 5급 사무관이 자신의 자녀에게 '왕의 DNA'가 있다며 교사에게 무리한 요구를 한 사건이 보도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사설연구소는 ADHD 성향을 보이는 아이들을 '극우뇌'로 분류하고, 이 아이들에게 맞는 교육을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더욱이, 이 아이들을 왕처럼 대접하고 원하는 대로 생활하게 내버려 두면 스스로 행동을 고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마음껏 하게 하고, 동생을 괴롭혀도 무시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만 먹이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비용은 미취학 아동은 월 180만원, 초등학교 5·6학년 아이들은 월 210만원 수준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이비 치료는 2013년에 논란이 됐던 '안아키'(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와 유사한 주장을 하고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영유아 필수 예방접종을 거부하는 등 극단적인 자연치유 육아법을 전파해 아동학대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이비 치료가 왜 문제인지, 그리고 부모들이 왜 이러한 치료에 속아 넘어가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왜 부모들은 믿을가?

2.1. 취약성과 절박함: 스트레스-취약성 모델

'스트레스-취약성 모델'에 따르면, 특정한 스트레스 요인이 취약한 개체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발달장애나 ADHD를 가진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불안 회피 반응'을 보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킬 경우, 부모는 즉각적인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며, 이때 사이비 치료가 제시하는 '즉각적인 해결책'에 끌리게 됩니다. 이는 부모가 불안을 빠르게 해소하고자 하는 심리적 욕구 때문입니다.

2.2. 사회적 기대와 부모의 책임감: 역할 이론

'역할 이론'에 따르면, 사회는 각 개체에 특정한 역할과 기대를 부여합니다.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정상'으로 인정받고, 사회적으로 성공할 것을 기대하며, 이러한 기대감은 부모가 아이의 발달 상태에 대해 '과도한 책임감'을 느끼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동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면, 부모는 이를 자신의 실패로 느끼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압박을 느낍니다. 이러한 압박은 부모가 빠르고 확실한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동기를 높입니다.

2.3. 인지적 편향과 확인 편향: 인지 부조화

인지 부조화 이론은 두 가지 이상의 생각이나 신념, 정보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심리적 불편함을 설명합니다. 부모들은 자신이 믿고 싶은 정보에 더 쉽게 믿음을 가지며, 이로 인해 '확인 편향'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왕의 DNA'와 같은 개념에 대해 긍정적인 사례만을 찾아보고, 부정적인 정보는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확인 편향은 부모가 사이비 치료의 위험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듭니다.

2.4. 그룹 내 동질성과 사회적 지지: 그룹 규범과 동질성

그룹 동질성 이론에 따르면, 같은 상황의 부모들끼리 모여 '성공 사례'를 공유하면, 이는 다른 부모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그룹 내 동질성은 부모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며, 그룹의 규범과 신념을 강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부모들은 사이비 치료에 대한 믿음을 더욱 강화시키게 됩니다.

2.5. 권위자의 영향력: 권위 순응

스탠리 밀그램의 권위 순응 실험에서 볼 수 있듯이, 권위자의 지시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의 윤리적 판단을 무시하곤 합니다. 사이비 치료를 주장하는 사람이 전문가처럼 보이거나, 신뢰할 만한 배경을 가지고 있다면, 부모들은 이를 더 쉽게 믿게 됩니다. 이는 권위자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부모들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만듭니다.

2.6. 불확실성과 미래에 대한 두려움: 불확실성 회피 이론

불확실성 회피 이론에 따르면,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사람들이 더 '안전한' 선택을 하려고 합니다. 아이의 미래가 불확실할 경우, 부모는 사이비 치료가 제시하는 '확실한 미래'에 더 쉽게 끌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의 미래를 걱정하는 부모는, 사이비 치료가 제시하는 '미래의 성공'에 더 쉽게 끌릴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대응방안

3.1. 교육과 인식 개선: 인지 행동 치료 기반 교육

인지 행동 치료(CBT)의 원칙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부모들의 잘못된 믿음과 인식을 바로잡을 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들이 자신의 믿음과 행동 사이의 연결을 이해하도록 도와, 더 건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합니다.

3.2. 전문가의 역할 강화: 신뢰성과 설득의 심리학

전문가들은 '신뢰성'과 '설득의 심리학'을 활용하여 부모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문가가 제시하는 대안적 치료법이나 접근법은 과학적 증거에 기반해야 하며, 이를 통해 부모들의 권위 순응을 건강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3.3. 법적 제재와 규제: 행동 경제학의 적용

행동 경제학의 원칙을 적용하여, 사이비 치료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개인에 대한 법적 제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눈에 띄는 경고문'이나 '금지 행위' 등을 통해 부모들이 더 신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3.4. 지역사회와의 협력: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이론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이론에 따르면, 강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는 개인의 심리적 안정에 기여합니다.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사이비 치료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부모들이 더 건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4. 다중 시스템 접근의 중요성

사이비 치료에 대한 부모들의 믿음은 복잡한 심리학적 요인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중 시스템 접근이 필요합니다. 교육과 인식 개선, 전문가의 역할, 법적 제재, 그리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사이비 치료의 위험성을 줄이고 아이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